티스토리 뷰

정부가 23일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수진작책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은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 입니다.

5월 첫째 주는 1일 노동절, 3일 석가탄신일, 5일 어린이날이 각각 월·수·금요일이어서 화요일과 목요일만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최장 9일의 황금연휴가 완성됩니다 .그야말로 직장인들에게는 꿈 같은 시간이죠

이런 이유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5월에도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또 지정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올 초부터 조금씩 언급되기 시작했는데요.. 과연 실현가능성이 있을까요??

 


          

 

정부는 지난해 5월 5일 어린이날과 주말인 7∼8일 사이에 있는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내수진작책을 시행하여 어느정도 경제효과를 본 터라 소비절벽에 고민하는 정부가 올해도 임시공휴일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정부는 5월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 아직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5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있어 지금 당장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특히 올해는 조기 대선 가능성 등 정치·사회적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현 시점에서 임시공휴일 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보입니다.

 

다만 생각해볼거리는 있습니다. 목적은 내수진작인데..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면 사람들은 해외로 오히려 더 많이 나가지 않을까요? 국내에서 돈을 쓰지않고 해외에서 쓴다면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효과가 사라지게 됩니다.

두번째로 임시공휴일은 강제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중소기업에서는 시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대기업이나 공기업 등은 쉬는날인데.. 그에반해 쉬지않고 일을 해야 하는 중소기업 근무자들에게는 오히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점에서 정부도 고민이 될꺼라 생각됩니다..........................만 그래도.. 임시공휴일이 지정된다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입니다 ^^